ZW3D 네트워크 라이선스 완벽 가이드: 독립형과 차이점, 고정 IP 설정 방법

ZW3D 도입을 검토 중인 A기업의 김팀장님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설계팀 인원은 총 10명이지만, 외근, 회의, 타 업무 등을 고려하면 ZW3D를 ‘동시에’ 사용하는 최대 인원은 5명 정도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과연 10개의 영구 라이선스를 모두 구매해야 할까요? 만약 5개의 라이선스만 구매해서 10명이 나눠 쓸 수 있다면, 초기 도입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텐데 말입니다.

바로 이와 같은 고민을 완벽하게 해결해 주는 것이 ZW3D 네트워크 라이선스 방식입니다. 네트워크 라이선스는 구매한 수량만큼의 라이선스를 여러 사용자가 유연하게 나눠 쓸 수 있어, 합리적인 비용으로 팀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ZW3D 네트워크 라이선스가 기존 독립형 방식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A부터 Z까지 상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독립형(Standalone) vs 네트워크(Network), 무엇이 다른가요?

ZW3D 라이선스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우리 회사에 맞는 방식을 찾으려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알아야 합니다.

🛠 독립형(Standalone) 라이선스: 1개의 라이선스1대의 PC에 직접 설치하는 1 대 1 방식의 가장 기본적인 유형입니다. 라이선스가 설치된 PC에서만 ZW3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Network) 라이선스: 여러 사용자가 라이선스를 함께 사용하는 공유 방식입니다. 서버 PC에 구매한 수량만큼 라이선스를 설치해두면,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들은 필요할 때마다 라이선스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프로그램을 끄면 자동 반납됩니다.

독립형 (Standalone)네트워크 (Network)
장점📐 인터넷 연결이나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 없음📐 구매 비용 효율 높음 (동시 사용 인원에 맞춰 구매)
📐 라이선스 중앙 관리 용이함
단점📐 다른 PC에서 사용하려면 라이선스 이전 절차 필요
📐 사용자 수만큼 라이선스 구매
📐 라이선스를 관리할 서버 PC 1대 필요
📐 초기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

우리 회사에 맞는 라이선스 선택 기준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라이선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요?

👍 이런 경우, 독립형(Standalone) 라이선스를 추천합니다!

🛠 1인 기업, 프리랜서 등 소수의 인원만 ZW3D를 사용할 때
🛠 특정 PC에서 한 명의 전담 설계자만 고정적으로 사용할 때
🛠 사무실이 아닌 외부에서 네트워크 연결 없이 작업하는 일이 많을 때

🚀 이런 경우, 네트워크(Network) 라이선스가 정답입니다!

🛠 2명 이상의 설계자가 팀 단위로 ZW3D를 사용할 때
🛠 주/야간 교대 근무 등 사용 시간대가 서로 다른 환경일 때
🛠 라이선스 비용을 절감하고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을 때
🛠 직원들의 입/퇴사나 부서 이동이 잦아 유연한 라이선스 운영이 필요할 때

대부분의 기업 환경에서는 장기적으로 비용과 관리 측면에서 네트워크 라이선스가 훨씬 유리합니다.

ZW3D 네트워크 라이선스 서버 구축 방법

권장 사항_서버 PC 고정 IP 설정 방법 (Windows 10/11 기준)

네트워크 라이선스는 사용자 PC가 서버 PC를 정확히 찾아가 라이선스를 받아오는 방식입니다. 이때 서버 PC의 IP 주소가 자꾸 바뀌면 사용자 PC가 서버를 찾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서버 PC의 IP 주소를 하나로 고정하는 고정 IP 설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만약 고정 IP를 설정하지 않는다면, 서버 PC의 IP 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 PC에서 매번 서버 PC의 IP 주소를 재입력해야 합니다.

1. 현재 네트워크 정보 확인하기

먼저 설정에 필요한 현재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실행 창 오픈 후 cmd 입력
cmd 창 호출

검은 화면에 ipconfig /all 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현재 연결된 ‘이더넷 어댑터’ 정보에서 4가지 항목(IPv4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을 찾아 메모장 등에 정확히 기록해 둡니다. DNS 서버는 기본 설정과 보조로 나뉘어 있으며 두 가지 모두 알고 있어야 합니다.

ipconfig /all 결과

2. 고정 IP 설정하기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ncpa.cpl 을 입력하여 네트워크 연결 창을 엽니다.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보통 ‘이더넷’)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실행 창 호출 후 ncpa.cpl 입력
이더넷 또는 와이파이 속성 창 호출

목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더블 클릭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 [다음 IP 주소 사용]을 선택하고, 방금 전 ipconfig /all 명령어로 확인했던 정보(IPv4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를 각 칸에 그대로 입력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설정을 저장합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TCP/IPv4) 더블클릭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속성 값 입력

추가적으로 만약에 DNS 서버가 기억 나지 않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사용하는 인터넷의 통신사의 DNS 서버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통신사기본 설정 DNS 서버보조 DNS 서버
SK210.220.163.82219.250.36.130
KT168.126.63.1168.126.63.2
LG164.124.107.9203.248.242.2

필수 사항_ZW3D 네트워크 서버 구축

1. ZW3D Network License Manager 설치하기

이거 DAM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양식을 작성한 후 제출하면 우측에 나타나는 여러 소프트웨어 중 ZWCAD & ZW3D NetworkLicenseManager 64bit 를 찾아 다운로드 합니다.

ZW3D Network License Manager 설치 신청서 제출
ZW3D Network License Manager 찾기

다운로드된 설치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ZW3D Network License Manager 설치 1
ZW3D Network License Manager 설치 2
ZW3D Network License Manager 설치 3

2. ZW3D Network License 활성화하기

설치된 네트워크 라이선스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네트워크 라이선스 관리자 아이콘

라이선스 활성화 버튼을 클릭하고 라이선스 인증서에 기입되어 있는 ID와 수량을 입력합니다. 그 후 활성화 버튼을 클릭합니다. 성공적으로 활성화 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라이선스 코드 및 수량 입력
라이선스 활성화 완료

네트워크 라이센스 관리자 창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서버를 실행하면 서버 설정은 끝입니다.

서버 가동 전
서버 가동 후

사용자 PC에서 ZW3D 네트워크 라이선스 활성화

서버 구축을 마친 후에는 개별 사용자 PC와 서버 PC를 연결해야 합니다. 작업표시줄의 검색란에 라이선스 관리자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라이선스 관리자 찾기

라이선스 활성화 버튼을 클릭하고, 좌측에서 네트워크 라이선스 활성화 탭을 클릭한 후 서버 이름 또는 IP를 입력하고 검증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버 PC와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면 주요 제품에 구매한 ZW3D의 모듈이 나타납니다.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활성화 버튼을 클릭합니다.

라이선스 코드 입력
모듈 확인 및 선택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 후 활성화된 라이선스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끝입니다. 다시 ZW3D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활성화 완료
라이선스 관리 창에 정상 등록 완료

서버 PC 이전 시 필수 사항_네트워크 라이선스 반환

만약 서버 PC를 포맷해야 하거나 이전해야 한다면 꼭 서버 PC에서 라이선스 반환을 해야 하는데요.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포맷을 하는 경우에는 강제 반환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강제 반환은 영업일 기준 약 2~4일 정도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서버 PC에서 네트워크 라이선스 관리자를 검색하여 실행한 뒤, 서버를 멈추기 위해 하단의 정지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버가 정상적으로 멈춘 것을 확인한 후 반환하고자 하는 라이선스의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고, 반환 버튼을 클릭하면 라이선스 반환이 진행됩니다.

라이선스 반환 시 작업 1
라이선스 반환 시 작업 2
라이선스 반환 시 작업 3
라이선스 반환 시 작업 4

라이선스 반환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위에서 안내드린 대로 서버를 구축하고 개별 사용자 PC에서 서버 IP와 연결하면 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ZW3D 라이선스의 차이점과 네트워크 라이선스 설정의 핵심인 고정 IP 설정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안내해 드린 절차대로 진행하시면 어렵지 않게 설정이 가능하지만, 회사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변수가 발생하거나 과정 자체가 부담스럽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이거 DAM을 통해 구매하신 분들은 라이선스 방식 선택부터 복잡한 서버 구축, 사용자 교육 및 기술 지원까지, ZW3D에 대한 모든 것을 전문가가 도와드립니다. 고객사의 환경에 최적화된 라이선스를 제안하고 모든 기술적인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여, 오직 설계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어 드리니 언제든 기술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혹시 ZW3D에서 이러한 작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시거나, 이외에도 CAD/CAM/CAE 분야와 관련하여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1:1 문의 또는 카카오톡을 통해 편하게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더 보기

error: